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수령액과 수령 방법
청년내일채움공제로 1,200만원+α 받는 법!
2년간 열심히 납부한 청년내일채움공제, 만기 수령액과 빠르게 받는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. 기업기여금과 정부지원금 수령까지 한 번에 파헤쳐보세요.
1.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수령액은 얼마일까?
ㅇ 공제는 2년 형과 3년 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
- ‘2년 형’은 청년이 2년 동안 근무하면서 300만 원을 납입하면 1,600만 원의 목돈을, ‘ 3년 형’은 청년이 3년 동안 600만 원을 납입하면 3,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* (2년 형) 청년 300 + 정부 900(일반회계) + 기업 400(고용보험기금) = 2년 만기 때 1,600만 원
(3년 형) 청년 600 + 정부 1,800(일반회계) + 기업 600(고용보험기금) = 3년 만기 때 3,000만 원
2. 수령 절차 3단계 요약
1. 만기 신청 준비
- 마지막 납입일 확인 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 접속
- 급여명세서, 입출금내역서 등 서류 준비(회사 직인 필수)
2. 온라인 신청 진행
- '만기금 신청' 메뉴에서 본인 계좌 정보 입력 → 10분 내외 설문조사 작성
- 기업기여금/취업지원금 입금 현황 반드시 확인(미입금 시 지연 발생)
3. 지급 처리 대기
- 신청 후 평균 15~25일 소요
3. 1주일 만에 받는 초스피드 전략
- 사전 점검
- 만기일 3주 전부터 운영기관(02-1588-6259)에 기업측 회신 여부 문의
- 인사팀에 "중진공 메일 회신 필요" 사전 안내
- 동시 진행
- 기업기여금 마지막 입금일(보통 만기월+2개월)에 신청 서류 제출 병행
- 고용센터에 직접 전화로 진행 상황 확인(센터별 처리 속도 차이)
- 서류 보완
- 미제출 시 반려되므로 PDF+엑셀 파일 2중 백업
- 급여명세서 '소득세' 항목 누락 없이 확인
❓ 자주 묻는 질문 Q&A
Q. 퇴사했는데 만기금을 받을 수 있나요?
A. 2년 근속 조건 충족 시 퇴사 후에도 수령 가능하나, 미납 회차 있을 경우 중도해지됩니다.
Q. 기업에서 서류 회신을 안 주면 어떻게 하나요?
A. 관할 고용센터에 「직업안정법」제34조 위반 신청 가능(거짓 구인광고 처벌 규정 활용).
Q. 이자는 어떻게 계산되나요?
A. 적립금 운용 성과에 따라 변동(2023년 연 1.8%~2.3%). 정확한 금액은 중진공 앱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.
1.9. '19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개시(청년취업지원과).hwp
0.32MB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