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주휴수당 지급 조건과 계산법"
주휴수당은 알바생부터 정규직까지 꼭 챙겨야 할 권리인데요. 이 글에서는 주휴수당 지급 조건과 계산법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립니다. 최신 근로기준법을 반영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 담았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!
주휴수당이 뭔가요?
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일한 근로자에게 주는 유급 휴일 수당입니다. 쉽게 말해, "열심히 일한 당신, 쉬면서도 임금 받을 자격 있어요. 알바생이더라도 근로계약서에 주 15시간 이상 명시됐다면 꼭 받아야 해요.
주휴수당 지급 조건 3가지
- 주 15시간 이상 근무
실제 일한 시간이 아닌, 근로계약서에 적힌 소정근로시간 기준입니다. 예를 들어 주 3회×5시간이라면 15시간 충족이죠.- 주의점: 4주 평균으로 계산되며, 단기 알바도 해당됩니다.
- 개근 필수
지각·조퇴 없이 소정근로일을 모두 채워야 합니다. 대신 유급휴가(연차)를 쓴 날은 개근으로 인정돼요. - 다음 주 근무 전제
마지막 근무 주에는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. "이번 주 일하고 다음 주에도 출근할 거야"라는 전제가 필요하죠.
💡 꼭 기억하세요: 5인 미만 사업장도 조건만 맞으면 의무적으로 지급해야 합니다. 안 줄 경우 2천만 원 이하 벌금이나 2년 이하 징역형을 받을 수 있어요.
주휴수당 계산법: 초간단 공식
계산 방식은 통상근로자(주 40시간)와 시간제 근로자(주 15~39시간)로 나뉩니다.
1. 통상근로자 (주 40시간)
- 공식: 1일 소정근로시간 × 시급
예시: 하루 8시간 근무×시급 10,030원 = 80,240원.
2. 시간제 근로자 (주 15~39시간)
- 공식: (주간 근로시간 ÷ 40) × 8시간 × 시급
예시: 주 20시간 근무 시 → (20/40)×8×10,030원 = 40,120원.
📊 월급제는?: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됐는지 확인하려면 시급을 역산하세요. 주 40시간 기준 월급이 209만 원(2025년 최저임금)보다 적으면 미포함일 수 있어요.
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주 14시간 일하면 주휴수당 못 받나요?
A1. 네, 주 15시간 미만은 법적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. 단, 4주 평균 15시간 이상이면 가능해요.
Q2. 아르바이트 첫 주에도 받나요?
A2. 첫 주는 "개근+다음 주 근무"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지급되지 않습니다.
Q3. 시급 인상 시 주휴수당도 오르나요?
A3. 네.
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기본권입니다. 주 15시간 이상 근무, 개근, 계속 근로 조건을 숙지하고, 자신의 근무 형태에 맞춰 계산해보세요.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(☎1350)나 노동권익재단에 도움을 요청하세요.
✨ 한 줄 팁: "시프티 주휴수당 계산기"로 복잡한 계산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!
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요일제 가이드
"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요일제 가이드"2025년 민생회복지원금, 드디어 시작됩니다! 이번 지원금은 1인당 최대 25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데요. 신청 기간, 대상,
ktk1000.com
'경제, 기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SR vs DTI 비교 – 내게 유리한 대출 한도는? (3) | 2025.07.03 |
---|---|
이재명 대통령 첫번째 기자회견 주요내용 총정리 (3) | 2025.07.03 |
정부의 대출규제 정책이 서민경제에 미치는 실제 효과 (1) | 2025.07.02 |
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전략, 어떻게 바뀌었나? (0) | 2025.06.27 |
21대 대통령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(2) | 2025.06.04 |